22.01.10
오늘은 동계인턴 중인 회사에서 글을 써봅니다.
1. ==과 ===
js에는 두 변수나 객체를 비교할 때, ==과 ===, 두가지 equal 연산자를 사용합니다. 그 둘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야합니다.
== 의 경우
두 값이 유형이 다르더라도 유형을 바꿔 값에 대한 비교만을 하는 연산자입니다.
=== 의 경우
두 값의 유형과 값 모두 같을 때 true를 반환합니다.
EX)
null == undefined (true)
null === undefined (false)
var a = 1;
var b = “1”;
a == b (true)
a === b (false)
console.log(NaN == NaN); // false
console.log(NaN === NaN); // false
var a = [1,2,3];
var b = [1,2,3];
console.log(a == b); // false
console.log(a === b); // false
2. querySelector()와 querySelectorAll()
querySelector()
파라미터로 css 셀렉터가 와야합니다.
제공한 선택자 또는 선택자 뭉치와 일치하는 문서 내 첫 번째 Element를 반환합니다.
일치하는 요소가 없으면 null을 반환합니다.
동일한 클래스 명을 가진 객체가 있을 경우 html 문서내의 첫 번째를 나타내는 요소를 반환합니다.
결과가 없다면 null을 반환합니다.
예외는 파라미터 구문이 유효하지 않을 때 밖에 없습니다.
querySelectorAll()
파라미터로 css 셀렉터가 와야합니다.
반환 값은 일치하는 하나의 element를 포함하는 nodelist를 반환합니다.
일치하는 것이 없는 경우엔 빈 nodeList를 반환합니다.
예외는 파라미터 구문이 유효하지 않을 때 밖에 없습니다.
'Javascript > Vanilla 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symbol, global symbol registry, Symbol.for, Symbol.keyFor (0) | 2022.01.26 |
---|---|
메서드(method), this, new, Constructor, Optional chaining(.?) (0) | 2022.01.25 |
Object, reference, copy, garbage collection. 객체, 참조, 가비지 콜렉 (0) | 2022.01.19 |
javascript const, let, var (0) | 2022.01.09 |
javascript html parsing, js fetching, parsing, fetching (0) | 2022.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