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jects 9

ku나라 공모전 입상

22.01.28 지난주에 공모전 심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결과는 입상입니다. 졸업 작품 대체로 사용할 수 있어 굉장히 편해졌습니다. 팀원들 수고 많았습니당 첫 java, spring 프로젝트였기에 진행하면서 많이 성장했습니다. MVC 구조와 Spring의 구조에 대해 완전히 이해하게 되었고 ORM도 익숙해지고 javascript도 많이 늘었습니다. 이론적인 공부도 중요하지만 무언갈 만들면서 성장하는 방법이 가장 저에게 맞다고 느꼈습니다. 졸업전에 다른 프로젝트 하나 더 해보고 싶네요.

ku나라 aws, rds연동

21.09.26 클라우드 서비스 aws를 사용해 저희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해 어제 하루종일 잡고 있었습니다. 인스턴스 생성, 다른 설정들은 유튜브를 통해 조금이나마 이해를 했지만 RDS를 사용해 workbench와 연결하는 작업이 쉽지 않았습니다. 중간고사 전에 웬만한건 다 끝내 놓으려고 합니다. 시간 가는줄 모르겠네요. aws ec2와 rds를 사용한 연동 과정 후에 수정 예정 >>>

chatapp 리액티브 스트림즈, Flux, Publisher, Subscriber

21.09.17 오늘 정리할 세가지 내용은 데어프로그래밍님의 강의에서 큰 설명 없이 그냥 넘어간 부분입니다. 정확하지 않지만 제가 찾아 직접 공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1. 리액티브 스트림즈 스프링은 웹 요청처리, http 클라이언트, nosql 연동 등 많은 영역에서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을 지원합니다. 스프링 리액터는 스프링에서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을 위한 핵심 모듈입니다. 리액터를 잘 사용하려면 많은 것들을 알아야 하지만 가장 기본이 되는 두 타입인 flux와 mono에 대해 알아야합니다. 서버 관점에서 리액티브를 사용하는 이유 중 하나는 비동기 / 논블록을 이용해 더 적은 자원으로 더 많은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함입니다. 리액티브 스트림즈는 비동기 스트림 처리를 위한 표준입니다. 스프링 리액터는 이를 구현..

chatapp Collection, Document (MongoDB)

21.09.14 LOMBOK에 이어서 MonggoDB의 collection과 document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참고로 MonggoDB(Nosql) 처음 사용해봅니다. 매번 mysql, mariadb만 사용했었기에 제 첫 Nosql입니다. 1. Database db는 collection의 물리적 container입니다. 하나의 db에는 여러개의 collection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확하진 않지만 collection을 하나의 table 처럼 여기는듯 합니다.) 2. Collection collection은 monggo에서 document의 그룹입니다. RDBMS의 table과 유사한 개념인듯 합니다. collection은 schema를 강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collection 내부의 doc..

chatapp lombok, Annotation

21.09.14 집 앞 카페에서 고양이들과 함께 공부중입니다. 오늘은 springboot의 lombok의 개념과 장점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슬슬 토익 점수도 준비해야 해서 영어 공부에 힘을 주고 있습니다. 850점 넘겼으면 좋겠습니다. 하하 1. LOMBOK 기본적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vo객체는, db table의 colume과 같은 이름의 private 변수를 가지고 getter setter 메소드를 정의한 후 toString 메소드를 정의해 사용합니다. 하지만 프로젝트가 커지면 커질수록 위에서 말한 변수와 메소드들이 점점 늘어나게 되어 관리와 유지보수에 부담이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라이브러리가 바로 lombok입니다. 사용하기 위해서는 spring boot에 라..

chatapp 시작

21.09.11 유튜브 '데어 프로그래밍' 님의 springboot 5.0을 이용한 chatapp 만들기를 따라 포스팅을 진행할 것입니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Vrhnbfe78ODeQglXtT1Elw) 데어 프로그래밍 getinthere@naver.com www.youtube.com 채팅 서버는 한번도 만들어 본 적이 없기 때문에 따라 만들면서 어떤 구조로 만들어지는지 배우겠습니다. 그리고 boot를 처음 써보는데 설정 단계가 너무 간편하고 좋습니다. (첫 spring 설정에 몇시간 들였던 기억이..) Framework는 위에서 설명했듯 springboot 5.0을 사용 할 것이며 DB는 MongoDB 사용할 예정입니다. 기대됩니다. 너무 재밌을거 같습니다. 얼..

ku나라 Goorm ide, 역할분담

21.09.11 어제 회의를 통해 정확한 역할분담 및 프로젝트 진행에 사용할 툴을 정했습니다. 저는 back단에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1. GOORM IDE 원래는 VSCODE에 SFTP 서버를 깔아 같이 코드를 공유하며 협업하기로 했지만 찾아보니 더 좋은 툴이 있는것 같아 바꿨습니다. GOORM IDE란 웹 기반 클라우드 프로그래밍 도구입니다. 네트워크만 연결되어 있다면 접속만으로 별다른 설정업이 다양한 언어로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습니다. 팀원들과 손쉽게 동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도록 해줍니다. 정말 편리합니다. 앞으로 회의 전에 서로의 코드를 공유 할 수 있게 되어 훨씬 효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문제 해결 ku나라-01에서 다뤘던 경로지정 문제를 협업 툴인 GOORM..

ku나라 시작

21.09.07 9월 5일 SQLD시험을 마치고 여유가 생겼습니다. (SQLD 결과는 10월1일에 나옵니다. 생각보다 쉬워서 실수만 없었다면 붙은 것 같습니다.) 이제 교내 공모전에 집중할 때입니다. 저를 포함한 팀원 셋이서 매주 금요일 오후 7시 반에 화상회의를 하고 있습니다. 저번주 회의에선 주제를 좀 더 명확히 하고 전체적인 컨셉과 웹 사이트의 색 테마를 정했습니다. (초록색 계열로 갈 예정.) 팀원 두분이 프론트를 맡고 제가 백을 맡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저도 프론트 작업하는 것을 좋아해 같이 할 생각입니다. 팀 활동을 하면서 어떤 문제가 생기고 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할지 생각하면서 프로젝트를 진행할 것입니다.